아이슬란드 국가부도위기

의미있는 뉴스 2008. 10. 8. 20:57
러시아에 자금지원 요청

신흥 경제국가들의 발전 모델로 꼽혔던 아이슬란드가 국가부도 위기에 몰려, 과거 적대 관계였던 러시아에까지 손을 벌리는 처지가 됐다. 규제 없는 개방으로 인해 이번 세계 금융위기의 첫 희생자가 됐다.

■ 첫 국가부도 맞나 아이슬란드 정부가 7일(현지시각) 러시아에 40억유로(7조5천억원)를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고, 러시아가 수용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 아이슬란드는 전날 서방 동맹국들로부터 긴급자금 지원을 받아내지 못했다. 게이르 하르데 아이슬란드 총리는 이날 “현 상황에선 새로운 친구를 찾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앞서 6일, 하르데 총리는 대국민 연설을 통해 “국가 경제가 세계 금융위기의 소용돌이에 빨려 들어가 국가파산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주요 은행주의 거래가 중단되고 화폐(크로나) 가치가 하룻동안 유로화에 견줘 30%나 폭락한 데 따른 것이다.

비상사태 선포 다음날 아이슬란드 정부는 곧장 100% 예금지급을 보장하겠다고 발표하고, 자국 2위 은행 란즈방키의 국유화 절차에 돌입했다. 지난달 3위 은행 글리트니르를 부분 국유화한 뒤 두번째 나온 조처다. 아이슬란드 정부는 최대 은행 카우프싱에 대해서도 5억유로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환율 폭등을 막으려고 1유로 당 130크로나로 고정하는 조처도 취했다. 하지만 유로화가 암시장에서 200크로나에 거래되는 등 환란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 아이슬란드, 뭐가 문제인가 어업과 수산물 가공업에 크게 의존해온 인구 30만명의 아이슬란드는 1991년 이후 이자율과 외환 통제 완화, 외국 투자유치 강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대대적 금융시장 개방을 통해 새로운 성장 엔진을 찾았다. 과감한 차입투자와 고위험 경영을 통해 아이슬란드의 주요 은행들은 자산 규모를 연간 국내총생산(GDP·200억달러)의 9배가 넘도록 키웠다. 은행이 잔기침을 하면 나라 전체가 독감에 걸리게 될 상황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결국 미국발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과도한 외채 차입을 해온 은행들은 파산 위기에 몰렸고, 외환보유고가 바닥났다. 바클레이스 캐피털의 줄리언 캘로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아이슬란드는 과도한 신용이 어떻게 경제를 망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교과서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이슬란드는 2000년대 들어 저금리의 달러 자금을 차입한 국제 투기자본들이 몰리면서 주식·부동산 시장의 이상과열 현상을 겪은 바 있다. 2005년 이후 미국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자, 투기자본들이 빠르게 시장을 이탈하면서 2006년 상반기 통화 가치가 주요 통화에 대해 17%까지 급락하는 금융 불안을 맞기도 했다.

: